programmers

[Programmers]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오픈채팅방 + C++ STL Map사용법 정리

윤만석 2022. 9. 1. 15:33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프로그래머스 level2

C++ 의 STL중 하나인 Map을 이용한 문제입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map>
using namespace std;
map<string,string> users;
vector<string> solution(vector<string> record) {
    vector<string> answer;
    string str;
    string order,userId,userName;
    //Map[userId]=userName으로 저장하는 단계
    for(int i=0;i<record.size();i++){
        str=record[i];
        for(int j=0;j<str.length();j++){
            if(str[j]==' '){
                order=str.substr(0,j);
                str=str.substr(j+1);
                break;
            }
        }
        for(int j=0;j<str.length();j++){
            if(str[j]==' '){
                userId=str.substr(0,j);
                userName=str.substr(j+1);      
                break;
                }
            }
        if(order=="Enter"){
            users[userId]=userName;         
        }
        else if(order=="Change"){       
            users[userId]=userName;
        }  
    }
    
    //정답 출력
    for(int i=0;i<record.size();i++){
        str=record[i];
        for(int j=0;j<str.length();j++){
            if(str[j]==' '){
                order=str.substr(0,j);
                str=str.substr(j+1);
                break;
            }
        }
        for(int j=0;j<str.length();j++){
            if(str[j]==' '){
                userId=str.substr(0,j);      
                break;
                }
        }
       
        string temp;
        if(order=="Enter"){
            temp=users[userId]+"님이 들어왔습니다.";
            answer.push_back(temp);
        }
        else if (order=="Leave"){      
            temp=users[userId]+"님이 나갔습니다.";
            answer.push_back(temp);
        }      
    }
    return answer;
}

Map에 Key=UserId, Value=UserName을 저장합니다.

처음 반복문에서 신규인원이나, 나갔던사람이 들어오는경우 Map[userId]를 Username으로 바꿔줍니다. 같은 아이디로 이름만 바꾸고 들어온사람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반복문에서 위 반복문과 마찬가지로 UserId와 Order(enter,leave)만 파악하고 주어진 조건대로 answer에 push합니다.

 

STL Map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헤더

#include<map>

 

기본 선언법

map<KeyType,ValueType> [이름]

각각 Key와 Value입니다.

Key에대해 중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Map은 자료를 저장할때 자동으로 Key값을 기준으로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레드블랙트리 O(logN))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려면 map<int,ObjectType,greater> [이름] 으로 선언합니다.

 

데이터 삽입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Map.insert({Key,Value})

Map[Key]=Value

 

기본적으로 map의 함수들은 이터레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데이터 찾기

map.find(Key)

이터레이터를 반환하고, Key값이 없으면 map.end()를 반환합니다.

 

반복문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for(auto iter: map){

}

 

특정 위치 데이터 삭제

map.erase(iterator) //iterator=map.begin()+index

 

key값을 이용한 데이터 삭제

map.erase(Key)

 

Vector와 마찬가지로 

map.clear()

map.size()

map.empty()
또한 사용가능합니다.